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문고전12

논어이야기) 인성역량의 덕목 : 孝悌의 중요성 其爲人也 孝弟而好犯上者 鮮矣 원문 : 有子曰 其爲人也 孝弟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而好作亂者 未之有也 독음 : 유자왈 기위인야 효제이호범상자 선의 불호범상이호작란자 미지유야 해석 : 유자가 말하였다. 그 사람됨이 효도하고 공경하면서 윗사람을 범하기 좋아하는 자는 드물다.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고 亂을 일으키기 좋아하는 자는 없다. 풀이 : 부모에게 효도하고 주변 사람을 존중하는 자는 상관을 배신하지 않는다. 상관을 배신하지 않는 자는 공동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원문 :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독음 :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해석 : 군자는 근본을 힘쓴다. 근본이 서야 도가 생긴다. 孝悌(효제)는 仁(인)을 행하는 기초가 된다. 풀이 : 군자는 기초적인 인성을 갖춘다. 인성을 갖추어야 자신.. 2022. 8. 5.
논어이야기) 인정욕구와 자아실현을 이룬 군자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하지 않으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人 사람 (인) 不 아니 (불,부) 知 알 (지) 而 말이을 (이) 慍 서운할 (온) 亦 또 (역)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乎 어조사 (호) 풀이 人(사람 인)은 남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不은 '불' 또는 '부'로 발음된다. 보통은 '불'로 발음하지만 不 뒤에 오는 조사가 'ㄷ' 또는 'ㅈ'일 때는 '부'로 발음한다. 而(말이을 이)는 접속사 기능을 하는 허사이다. 군자(君子)는 전문성과 윤리성을 겸비한 인물이다. 乎(어조사 호)는 종결 어조사로써 ‘!, ?’의 역할을 하면서 문장이 쉬거나 끝남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한자이다. 인정 욕구 내가 열심히 노력하는데 남이 알아주지 않으면 .. 2022. 7. 28.
논어이야기) 언제나 즐거운 친구와의 만남 有朋 自遠方來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 친구가 먼 곳에서 찾아온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有 있을 (유) 朋 벗 (붕) 自 스스로 (자) 遠 멀 (원) 方 방향 (방) 來 올 (래) 亦 또 (역) 樂 즐거울 (락) 乎 어조사 (호) 해석 및 풀이 有朋유붕을 ‘친구가 있어’라고 표현하는 것은 한문을 반만 이해한 것이다. 여기서 有는 ‘있을 유’ 자로’ 해석하지 않는다. 한문에서 有는 사람 앞에 붙으면 ‘어떤’으로 해석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 문장의 경우 ‘어떤’이라는 단어 표현도 어색하기 때문에 해석하지 않는 것이 국어 표현에 더 적합하다. 自(스스로 자)는 ‘~로부터’로 해석된다. 方은 장소의 의미인‘곳’으로 해석하면 된다. 乎(어조사 호)는 종결 어조사이다. 종결 어조사는 뜻을 가지고 있지 .. 2022. 7. 26.
논어 이야기 배움의 희열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공자가 말하기를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자구 해석 논어에서 자왈(子曰)이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여기서 子는 공자孔子를 지칭한다. 子는 선생님의 존칭이다. 맹자, 주자, 노자, 장자 등 학문적 성취를 이룬 이들에게 子라는 호칭을 부여한다. 이중 유일하게 공자만 '공자왈(孔子曰)'이라고 하지 않고 '자왈子曰'이라 한다. 공자는 동양권에서 제일의 성인으로 추앙하기에 공자라는 명칭을 諱휘한다. 만일 공자라는 이름을 써버리면 약간 무례한 표현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기서 또한 주목할 한자가 기쁠 열(說)이다. 현대 사용하는 기쁠 열자는 마음 심을 부수를 사용하는 悅이다. 논어가 편찬되었던 시기에는 '기쁘다'라는 한자를 說로 사용했는데 아마 이 시기에는 .. 2022. 7.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