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수업의 오리엔테이션 시간으로 한문의 개념과 한문 학습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한문은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졌다. 한문은 중국에서 만들어졌지만 중국어와는 또 다르다. 한문에 대한 오해로 한문을 잘하는 사람이 중국어도 잘한다라고 오해하기도 하는데 사실 그렇지 않다. 같은 의미로 중국인들은 한문을 전혀 모른다. 중국인도 잘 모르는 한문을 우리는 왜 배워야 하는지 알아보자.
한문의 명칭
한문(漢文)의 '한(漢)'은 '나라 이름(한)'이다. 중국의 역대 주요 나라를 순서대로 보면 ‘하夏-은殷-주周(춘추전국春秋戰國)-진秦-한漢-삼국三國-수隋-당唐-송宋-명明-청淸-중국中國’ 순서이다. 여기서 한문의 ‘漢’은 여기서 등장하는 ‘한나라’이다. ‘한문’의 의미는 ‘한(漢)나라 시대의 문자’라는 뜻이다. 중국의 많은 나라 중에서도 왜 하필 한나라 시대의 문자일까? 그것은 한문의 생성과정과 관련 있는데 한나라 시대에 와서 지금의 한자의 모양이 갖추어져서 한자(漢字), 한문(漢文)이라고 명칭 하였다.. 한나라는 기원전 202년 한고조 유방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다. 한나라는 우리에게 익숙한 유방과 한우의 싸움인 초한지의 모티브가 된 나라이다.
한문은 중국어와는 다르다
한문은 중국어와는 다르다. 일단 모양부터가 다르다. 중국어는 복잡한 한자를 간소하게 만든 소위 간자체를 쓴다. 한자의 모양이 복잡하여 문맹률이 높기 때문에 문맹률을 줄이고자 근현대 시대부터 간자체를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한문과 중국어는 문법 체계가 다르고 문법 체계에 사용된 한자의 쓰임도 차이가 있다. 중국어가 한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는 있겠지만 중국어를 한다고 한문을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지금의 중국인에게 한문을 보여주면 대부분 이해하지 못한다. 중국인에게 한문은 고대 중국어와 같은 느낌을 받을 것이다.
우리는 왜 고대 중국어인 한문을 공부하는가?
이는 한자, 한문 학습의 필요성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우리는 예전부터 문자가 존재하지 않았다. 우리의 전통문화들은 한문을 차용하여 기록해왔다. 한자와 한문은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 사용했는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고조선 시대부터 한자, 한문이 들어와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약 5000년 이전부터 한자와 한문이 한반도에 유입되어 문자로 사용되었는데, 우리나라의 말과 글의 역사는 한자한문과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는 우리의 문자가 존재하지 않은 채 한문을 사용하였다가 조선시대 세종대왕에 의해서 비로소 우리의 문자인 훈민정음이 만들어졌다. 그렇지만 그마저도 비주류 문자 취급을 받아왔고 여전히 공식문자는 한문을 사용하였다. 한문이 폐지되고 한글이 공식문자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 강점기부터였다. 한글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100년이 채 안된 것이다. 우리 역사 5000년 중에서 4900년이 한자가 주류였기 때문에 아직도 우리의 언어와 문화에는 한자와 한문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어휘의 반 이상이 한자어인 것이다. 심지어 우리가 사용하는 이름도 대부분 한자이다. 일상생활과 학습, 직업 업무의 문해력에 크게 좌우하는 것이 한자어인 샘이다. 우리의 의사소통 능력을 위해서 한자와 한문은 매우 중요한 위치이다.
'중등한문 > 고등학교 한문Ⅰ(장원교육 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두 글자 이야기 part.3 확인학습 (0) | 2022.08.23 |
---|---|
1. 두 글자 이야기 part.2 (0) | 2022.08.23 |
한문과의 만남 part.2 (0) | 2022.08.23 |
한문과의 만남 part. 1 (0) | 2022.08.22 |
1. 두 글자 이야기 part.1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