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교육평가

평가의 의미

by 학이시습지불역열호 2022. 12. 6.

평가의  의미

일반적으로 교육 평가의 목적은 교육의 결과로써 교육이 가져온 지식, 가치 판단, 태도 등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타일러(Tyler)는 교육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행위를 교육 평가라 정의하였다. 그러나 교육 평가는 목표 달성도의 확인으로 보는 타일러(Tyler)식 개념 정의에 국한되지 않는다. 평가에 대한 또 다른 논의로 비비(Beeby)는 평가에 필요한 정보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수집되어야 하고 수집된 정보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며 교육 과정 교육 결과에 대한 기술과 해석만이 아니라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 과정과  결과, 교육 목적에 대해 가치 판단을 내리는 것이라고 평가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교육 평가는  다양한  기능을  한다.  학습자에게는  학습 동기의  외적  강화의  기능을 수행하고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학습자에게는 학습 동기의 외적 강화 기능 및 자기 성찰의 기능을 한다. 한편, 교사에게는 학습을 진단하여 그에 맞는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진학 지도 자료를 수집하도록 돕는 기능을 하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선하여 최적의 교육 과정과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교육 평가의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일이다.  목표  지향적  행위로서의  교육의  성격상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가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므로 교육  목표의  달성도에  관한  증거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교육  평가의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가 개인의 학습 방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며, 학습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을 촉진하는 일이다. 교육 평가의 목적이 교육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할 때, 학생 개개인의 학습에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학습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은 교육 평가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교육 평가에서는 측정치에 의해 학생들을 판단하는 일보다 그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학습 실패의  원인을 진단하고 개선함으로써 새로운 학습 동기가  유발될 수 있다. 교육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에 의해 학습자 스스로가 평가의 기능을 올바르게 이해하게 되고, 평가 결과를 스스로의 향상을 위해 수용하게 되면 학습 촉진뿐만 아니라 자기 진보를 향한 동기가 되는 것이다. 

 

셋째,  교육  평가의  또  다른  기능은  학습자의  진로  지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평가 자료는 학습자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고 진로 지도 자료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개인에게 자기 적성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넷째,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수업의 질을 높이는 일이다. 평가 자료는 학습자를 위한 평가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 결과는 교수ㆍ학습 방법, 교육 과정 및 수업 활동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학습 목표의 도달 정도가 낮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학습자 간의 학력 차가 크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 대한 준비도가 낮다면 그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등을 다양한 정보 수집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교사 스스로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교육의 제반 문제를 이해하고 올바른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국가 수준의 학업 성취도 평가와 같은 평가를 실시한 결과, 국가 수준에서 교과의 성취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 수가 많다면 차기 교육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가 개선의 주안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이렇게 교육 평가의 기능 등을 통해 교육 평가의 의미를 살펴보면 교육 평가란 단순히 교육  목표에 대한 학습자의 교육적 성취 정도를 확인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진단을 바탕으로 하여 진로ㆍ진학에 필요한 자료 수집, 교육 과정 및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가치 판단과 반성, 학습자의 스스로의 성취에 대한 판단 근거 및 학습에의 동기 부여 등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반응형

교육 평가의 기본적인 역할 중에서 국가 수준의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에 대한 책임 여부를 점검하는 책무성 평가 기능이 매우 중요한 하나의 축이며, 이번 평가 문항 개발 방법 자료의 제작 역시 이러한 중요성 측면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국연합학력평가와 같은 학업 성취도 시험은 주로 선다형 평가로 이루어지고, 선다형 평가는 객관적 과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양적 평가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이러한 양적 평가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이어서 신뢰성이 크다는 장점과 평가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국가 수준에서 전국 단위로 이루어지는 선다형 평가인 전국연합학력평가의 경우에는 교과 내용 및 교육 평가의 전문성을 갖춘 교사들에 의해 제작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교수ㆍ학습의 효과 및 교육 목표의 달성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업 성취를 파악, 집단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고 교육적 책무성을 부여하는 의미를 갖는다.

반응형

'교육이론 > 교육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가 문항의 유형  (0) 2022.12.06
평가 도구의 요건  (0) 2022.12.06
실험 설계 타당성  (0) 2022.11.16
표집과 척도  (0) 2022.11.16
원점수, 표준점수, 등위점수  (0) 2022.11.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