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제
- 사회는 비교적 지속적이고 안정된 구조를 가짐. (점진적 변화)
- 사회 구성 요소들이 잘 통합되어 있고 상호의존적
- 모든 사회는 그 구성원 간의 가치에 대한 합의에 토대를 둠. (사회 계약설)
교육에 관한 관점
- 사회화 : 학교교육은 전체 사회의 지배적 가치와 행동을 전달하여 한 사회의 존속에 기여하는 사회화의 수단
- 선발 : 교육은 능력 있는 사람을 선발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합리적인 선발 차이
- 평등 : 학교교육은 능력주의 사회적 성취와 평등에 기여
- 교육과정 : 지식은 본질적으로 보편성을 띠고 있으므로 사회와 시대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누구에게나 동일한 의미와 가치를 지님
뒤르겜
교육 주장
- 교육은 사회를 유지 발전
- 교육은 미성숙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 사회화
- 교육은 사회 구성원을 선발하는 기능을 담당
보편적 사회화와 특수적 사회화
보편적 사회화 | 특수적 사회화 |
사회의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체 사화의 가치관, 태도, 지식 등(도덕, 규범)을 내면화 시키는 것 보통교과를 가르치는 것. 보통교과 속에는 전체사회의 가치관, 태도, 지식 등이 있다. |
분화된 현대사회에 개인이 적응하기 위해서 소속집단의 가치관, 태도, 지식 등(도덕, 규범)을 내면화 직업교육, 전문교육을 가르치는 것, 직업 교육, 전문교육에 직업사회의 가치관, 태도, 지식 등이 있음. |
정리
- 사회가 이질화될수록 사회의 동질성 확보를 위해 보편적 사회화가 필요.
- 분화된 사회에 개인의 적응을 위해서 특수적 사회화가 필요.
- 산업혁명 이후에 성립된 공교육의 필요성을 설명.
드리븐의 사회규범
- 독립성 : 학문적 학습활동에 적용되는 규범. 학교에서 과제를 스스로 처리하도록 요구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함으로써 습득
- 성취성 : 학생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그들의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는 가치관을 받아들이고 그 가치관에 따라 생동하는 것
- 보편성 : 동일 연령의 학생들이 같은 학습내용을 공유함으로써 형성됨. (보편적 사회화)
- 특수성(특징성) : 학년이나 학교의 수준은 높아지면서 흥미와 적성에 맞는 분야에 한정하여 그 분야의 교육을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습득. (특수적 사회화)
반응형
발전 교육론
- 국가발전을 위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부분의 발전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교육의 양과 질을 계획적으로 조절
- 교육은 정치발전에 이바지한다. 정치인을 양성하는 정치적 충원, 국민들에게 정치적 문화를 전달하는 정치적 사회화, 국민들의 일치된 정치적 생각을 이끌어 내는 정치적 통합 등이 있다.
- 교육은 경제발전에 이바지함. 국가가 필요로 하는 경제 인력을 양성하고, 경제활동에 적합한 가치관과 태도를 배양하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한다.
- 사회발전에 공헌함. 교육을 통해서 사회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고, 사회의 생활양식이 바뀌고, 사회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길러준다.
- 문화발전에 공헌. 교육을 통해서 문화의 전파와 변동이 일어나고, 문화의 교류와 새로운 문화가 형성된다.
반응형
'교육이론 > 교육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평등관 콜맨-훗센, 김신일 (0) | 2022.11.04 |
---|---|
교육사회학 이론들 (0) | 2022.11.04 |
번스타인의 교육과정과 사용 용어 (0) | 2022.11.04 |
신교육사회학 2가지 영역 (교육과정 사회학, 교실사회학) (0) | 2022.11.04 |
갈등주의 교육사회학과 이론가(알튀세, 보울스아 긴티스, 브로디외), 저항이론 (0) | 2022.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