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조삼모사의 유래와 의미

by 학이시습지불역열호 2023. 3. 13.

조삼모사의 유래

송나라에 원숭이 집사로 유명한 저공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저공은 원숭이 사료로 도토리를 제공하고 있었죠

키우는 반려 원숭이의 개체가 늘어나자 저공은 사료값 지출이 늘어나자 원숭이를 집합시키고 조회를 열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말했죠.

"너네들이 도토리를 너무 많이 쳐묵하니 내 등골이 휜다. 이제부터는 도토리를 아침에 세개 저녁에 네개씩 주겠다."

그러자 원숭이들이 반발하였습니다. 그러자 저공은 원숭이의 요구를 들어주듯이 말했습니다.

"그래 알았다. 그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

그러니 원숭이들이 환호성을 지르며 좋아했다고 하죠.

의미

그래서 조삼모사란?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은 상황을 비유할 때 씁니다. 또는 속임수로 상대방을 속이는 경우에 쓰이기도 합니다. 여러분도 조삼모사를 교훈으로 삼아 눈앞의 이익만을 생각하지 말고 크고 넓게 보는 눈을 가진 지혜로운 사람이 되길 바랍니다.

조삼모사의 한자

  • 朝三暮四
  • 朝 아침 (조)  / 三 석 (삼) / 暮 저물 (모) / 四 넉 (사)
  • 겉뜻 :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
  • 속뜻 : 눈 앞의 다름만 알고 본질은 같음을 알지 못하는 어리석은 모습 / 술수를 부려 남을 속임

동영상 설명

https://youtu.be/pw342OfS1g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