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각살우 矯角殺牛
- 矯 : 바로잡을 교
- 角 : 뿔 각
- 殺 : 죽일 살
- 牛 : 소 우
겉뜻과 속뜻
교각살우는 소의 뿔 모양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작은 흠이나 결점을 고치려다가 도리어 일을 그르치는 것을 이르는 한자성어입니다.
유래
옛날 중국에서는 흔종이라는 풍습이 있엇습니다. 종을 처음 만들 때 뿔이 곧게 나 있고 잘 생긴 소의 피를 종에 바르고 제사를 지냅니다. 한 농부가 제사에 사용할 소의 뿔이 조금 삐뚤어져 있어 균형있게 바로잡으려고 팽팽하게 뿔을 동여매었더니 뿔이 뿌리째 빠져서 소가 죽었다는이야기에서 유래하였죠. 조그마한 결점을 고치려다가 수단이 지나쳐서 오히려 큰 손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한 말입니다.
관련 어휘 및 속담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지나치게 곧게 한다'는 뜻의 '교왕과직(矯枉過直)'이나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뜻의 '소탐대실(小貪大失)'과 비슷한 말이다. 또한 우리 속담의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草家三間) 다 태운다'와도 같은 뜻입니다.
동영상 설명
반응형
https://youtube.com/shorts/lZ4RVQK1nAc?feature=share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삼모사의 유래와 의미 (0) | 2023.03.13 |
---|---|
등용문의 의미와 유래 (0) | 2023.02.12 |
기호지세 고사성어의 의미 (0) | 2023.02.07 |
계명구도의 유래와 의미 (0) | 2023.02.07 |
지록위마 고사성어 쓰기와 풀이 유래 (0) | 2023.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