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다다익선의 유래와 의미

by 학이시습지불역열호 2023. 5. 30.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오는 말입니다. 

여기서 회음후는 한나라의 개국공신 한신입니다. 

한나라 고조(高祖)인 유방(劉邦)은 천하를 통일한 후

왕실의 안정을 위해 개국 공신들을 차례로 숙청하였습니다. 

한신(韓信)은 천하 통일의 일등 공신으로 초나라 항우의 군사를 토벌하는데 결정적 공헌을 세웠지만

통일이 완성된 한 왕실로서는 위험한 존재였습니다.

그래서 유방은 계략을 써 한신을 포박한 후 장안으로 압송하고는 

직위를 초왕에서 회음후로 좌천시켰습니다. 

어느 날 유방은 한신에게 이렇게 물었습니다.

"과인과 같은 사람은 얼마나 많은 군대의 장수가 될 수 있겠는가?" 

한신이 말하길

"아뢰옵기 황송하오나 폐하께서는 한 10만쯤 거느릴 수 있는 장수에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그대는 어떠한가?" 

"예,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습니다(多多益善)."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그렇다면 그대는 어찌하여 10만의 장수감에 불과한 과인의 포로가 되었는고?"

"하오나 폐하, 그것은 별개의 문제이옵니다. 

폐하께서는 병사의 장수가 아니오라 장수의 장수이시옵니다. 

이것이 신이 폐하의 포로가 된 이유입니다.

이렇게 군사의 통솔 능력을 말하면서 만들어진 다다익선이라는 말은 

오늘날 다방면에서 많을수록 좋다는 뜻으로 두루 쓰이고 있습니다.

이상 다다익선의 의미와 유래였습니다. 

  • 多 많을 다 / 多 많을 다 / 益 더할 익 / 善 좋을 선
  • 겉뜻 :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 
  • 속뜻 : 많을수록 좋다. 

동영상 설명

아래 링크 클릭 확인

반응형

https://youtu.be/LLqaCH9pr08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지신의 유래와 의미  (0) 2023.05.30
함흥차사의 유래와 의미  (0) 2023.05.30
결초보은의 의미와 유래  (0) 2023.05.08
마이동풍 의미와 유래  (1) 2023.04.14
삼인성호의 의미와 유래  (1) 2023.04.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