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17 등용문의 의미와 유래 의미 등용문은 용문에 오르다라는 한자성어입니다. 이는 중국 설화에서 비롯된 말이죠. 유래 중국 황화 상류에 용문이라는 협곡이 있었습니다. 용문은 물살이 매우 거칠고 서센 곳이 있죠. 이 협곡에 생선들이 있었는데 이 생선들이 용문을 통과하면 물고기가 용이 된다는 전설이 있었죠. 하찮은 신분인 물고기가 여러운 관문인 용문에 통과하여 고귀한 신분인 용이 된 것입니다. 그리하여 ‘용문에 오르다.’라는 등용문은 입신출세의 관문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등용문의 반댓말 그러나 용문의 생선들이 모두 용문을 통과할 수는 없는 법. 상당수의 물고기들은 용문을 오르다 힘에 부쳐 거친 물살에 떠밀려 떨어지게 되었죠. 그런데 하필 그 아래 바위가 있었죠 떨어지는 생선들이 아래 놓인 바위에 대가리를 찧어 대가리에 멍이 .. 2023. 2. 12. 교각살우 고사성어 유래와 의미 교각살우 矯角殺牛 矯 : 바로잡을 교 角 : 뿔 각 殺 : 죽일 살 牛 : 소 우 겉뜻과 속뜻 교각살우는 소의 뿔 모양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작은 흠이나 결점을 고치려다가 도리어 일을 그르치는 것을 이르는 한자성어입니다. 유래 옛날 중국에서는 흔종이라는 풍습이 있엇습니다. 종을 처음 만들 때 뿔이 곧게 나 있고 잘 생긴 소의 피를 종에 바르고 제사를 지냅니다. 한 농부가 제사에 사용할 소의 뿔이 조금 삐뚤어져 있어 균형있게 바로잡으려고 팽팽하게 뿔을 동여매었더니 뿔이 뿌리째 빠져서 소가 죽었다는이야기에서 유래하였죠. 조그마한 결점을 고치려다가 수단이 지나쳐서 오히려 큰 손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한 말입니다. 관련 어휘 및 속담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지나치게 곧게 한다'는 뜻의 '교왕.. 2023. 2. 8. 기호지세 고사성어의 의미 고사성어의 의미 기호지세는 '호랑이를 탄 형세'란 의미로 그 뜻으로만 보면 용감한 모습을 나타낸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호랑이 등에 올라타면 도중에 내리는 순간 호랑이밥이 되고 말죠. 그래서 중도에 그만둘 수는 없고 끝을 내야만 할 형세를 가리킬 때 쓰는 표현입니다. 騎虎之勢 기호지세 騎 말 탈 (기) 虎 호랑이 (호) 之 어조사 (지) 勢 형세 (세) 겉뜻 : 호랑이는 탄 형세 속뜻 : 중도에 그만둘 수 없고 끝을 내야만 할 형세 동영상 설명 링크 https://youtube.com/shorts/bzvNMDN1nUo?feature=share 2023. 2. 7. 계명구도의 유래와 의미 전국시대 때는 바야흐로 춘추전국시대 중 전국시대. 춘추전국시대는 여러 나라가 패권 전쟁을 앞다투고 땅따먹기를 하는 대 혼란의 시대입니다. 그중 전국시대는 춘추시대보다 더 혼란한 시기였죠. 이 혼란한 시기에는 다양한 에피소드와 영웅들이 등장합니다. 식객 수집가 맹상군 오늘의 주인공은 제나라의 맹상군. 맹상군은 전국사공자라고 불릴 만큼 임금에 준하는 막강한 부와 영향력을 갖춘 인물입니다. 그에 걸맞게 맹상군은 많은 식객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개도둑 출신과 동물 성대모사의 달인까지 식객으로 거느렸다고 하니 거의 식객 수집가라고 할 정도입니다. 진나라 소왕의 견제 당시 전국시대의 강대국은 진나라. 진나라의 소왕은 막강한 영향력을 갖춘 맹상군이 싫었습니다. 그래서 진나라 소왕은 맹상군을 초빙했습니다. 실은 명목만 .. 2023. 2. 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