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도의 정의
- 객관도는 채점 오차 없이 평정자의 주관적인 편견을 배제하는 정도
- 객관도를 한 평정자가 다른 평정자와 얼마나 유사하게 평정하였느냐는 채점자 간 객관도와 한 평정자가 많은 측정 대상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일관성 있게 측정하였느냐는 채점자 내 객관도로 구분
- 채점 오차가 낮을 때 객관도는 높고, 채점 오차가 높을 때 객관도는 낮다
- 객관도를 신뢰도의 한 종류로 보는 학자도 있음
객관도 향상 방법
- 객관식 검사 : 채점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주관식 검사보다는 평가도구의 객관화가 가능한 객관형 검사를 제작
- 평가자의 훈련 : 교사는 평가하는 내용에 대한 투철한 이해, 인간 행동에 대한 조작적 의미의 파악, 평가의 기술에 대한 훈련 등
- 평가 기준 : 검사자의 인상, 편견, 감정, 어림짐작, 착오 등 주관적 요소를 최소한으로 줄여야 하며, 평가의 기준이 명확
- 복수의 채점자 : 비 객 관적 평가도구는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평가해서 그 결과를 종합
실용도의 정의
- 실용도는 평가도구가 얼마나 시간과 노력을 적게 들이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느냐의 정도
- 시간, 노력, 효과의 단계
반응형
실용도의 향상 방법
- 실시의 용이성 : 평가도구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면 실용도는 증가
- 채점의 용이성 : 채점을 용이하게 하면 실용도는 향상
- 채점 방법의 용이성 : 채점 방법이 용이하면 실용도가 향상
- 비용의 절감 : 평가나 채점의 비용을 절감하면 실용도 증가
반응형
'교육이론 > 교육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중경향치와 분포도, 표준편차 (0) | 2022.11.16 |
---|---|
교육평가 척도 (0) | 2022.11.14 |
타당도와 신뢰도 (0) | 2022.11.14 |
문항제작의 유형 (0) | 2022.11.14 |
수행평가와 과정중심 평가 (0) | 2022.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