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목표
- 한자의 모양, 음, 뜻을 구별한다.
- '之'의 쓰임을 안다.
- 사자성어의 겉 뜻, 속뜻, 유래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管鮑之交 관포지교 (1234)
- 관중〔管〕과 포숙〔鮑〕의〔之〕 사귐〔交〕.
- 속뜻 우정이 아주 돈독한 친구 관계를 이르는 말
- 지음(知音)의 유래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 서 유래함
- 管 피리 (관), 鮑 절인 어물 (포),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
伯牙絶絃 백아절현 (1 32)
- 백아(伯牙 : 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인)가 현(絃)을 끊음〔絶〕.
- 속뜻 자기를 알아주는 참다운 벗의 죽 음을 슬퍼함.
- 伯 맏 (백), 牙 어금니 (아), 絶 끊을 (절), 絃 악기 줄 (현)
尾生之信 미생지신(1234)
- 미생(尾生: 노나라 청년)의〔之〕 믿음〔信〕
- 속뜻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이 약속만 을 굳게 지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尾 꼬리 (미), 生 날 (생), 지, 信 믿을 (신)
毛遂自薦 모수자천 (1234)
- 모수(毛遂 : 평원군의 식객)가 스스로〔自〕 추천함 〔薦〕.
- 속뜻 자기가 자기를 추천함.
- 毛 털 (모), 遂 마침내 (수), 自 스스로 (자), 薦 천거할 (천)
孟母三遷 맹모삼천 (1234)
- 맹자〔孟〕 모친〔母〕이 세 번〔三〕 집 을 옮김〔遷 〕.
- 속뜻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 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 孟 맏 (맹), 母 어미(모), 三 석 (삼), 遷 옮길 (천)
莊周之夢 장주지몽 (1234)
- 장주(莊周 : 전국 시대 송(宋) 나라의 사상가인 장자의 이름)의〔之〕 꿈〔夢〕
- 속뜻 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 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 壯 장할 (장), 周 두루 (주), 지, 夢 꿈 (몽)
塞翁之馬 새옹지마 (1234)
- 변방〔塞〕 노인〔翁〕의〔之〕 말〔馬〕
- 속뜻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 塞 변방 (새), 翁 늙은이 (옹), 지, 馬 말 (마)
愚公移山 우공이산 (1243)
- 우공(愚公 : 옛날 중국의 북산(北山)에 살던 노인)이 산〔山〕을 옮김〔移〕.
- 속뜻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 愚 어리석을 (우), 公 공 (공), 移 옮길 (이), 山 뫼 (산)
泣斬馬謖 읍참마속 (1423)
- 울면서〔泣〕 마속(馬謖 : 제갈공명의 신임을 받았던 촉한의 장수)을 참수함 〔斬〕.
- 속뜻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 泣 울 (읍), 斬 벨 (참), 馬 말 (마), 謖 일어날 (속)
陸積懷橘 육적회귤 (1243)
- 육적(陸積 : 중국 오나라의 효자)이 귤(橘)을 품음〔懷〕.
- 속뜻 지극한 효성을 비유하는 말
- 陸 뭍 (육), 積 쌓을 (적), 懷 품을 (회), 橘 귤나무 (귤)
효와 관련된 고사성어들
- 風樹之歎 풍수지탄 : 부모님을 모시고자 하나 이미 돌아가심을 한탄함.
- 昏定晨省 혼정신성 :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안부를 여쭈어 봄.
- 反哺之孝 잔포지효 : 어미에게 되먹이는 까마귀의 효성이라는 뜻으로, 어버이의 은혜에 대한 자식의 지극한효도를 이르는 말.
- 望雲之情 망운지정 : 멀리 떨어진 곳에서 부모님을 그리는 마음.
반응형
'중등한문 > 고등학교 한문Ⅰ(장원교육 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단원 인물로 세상 읽기 part.3 (0) | 2022.09.22 |
---|---|
3단원 인물로 세상 읽기 part.2 (0) | 2022.09.22 |
2단원 세 글자 이야기 part.3 (0) | 2022.08.30 |
2단원 세 글자 이야기 part.2 (0) | 2022.08.30 |
2단원 세 글자 이야기 part.1 (0) | 2022.08.25 |
댓글